이 글은 전공수업을 복습하며 작성한 글이다.
논리
- 명제 논리: 주어와 술어를 구분하지 않고 전체를 하나의 식으로 처리하여 참과 거짓을 판별
- 술어 논리: 주어와 술어로 구분하여 참과 거짓을 판별
명제(proposition): 어떤 사고를 나타내는 문장 중 참과 거짓을 객관적이고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문장이나 수학적인 식
명제가 참 또는 거짓의 값을 가질 때 그 값을 진리값이라고 한다. 참(T) / 거짓(F) 명제는 T와 F 두 가지 진리값만 가지므로
이진 논리라고 함. 명제는 어떤 문장이나 식이 애매하지 않고 참과 거짓이 명백해야한다.
단순명제 : 하나의 문장이나 식으로 구성
합성명제: 여러개의 단순 명제들이 논리 연산자로 연결되어 만들어진 명제
단순 명제들을 연결시켜주는 연결자들을 논리 연산자라고 한다.
(1) 부정 (negation)
명제의 반대되는 진리값
(2) 논리곱(conjunction)
두 명제가 and 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, 두 명제가 모두 참일 때만 참의 진리값을 가진다.
(3) 논리합(disjunction)
두 명제가 or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, 두 명제가 모두 거짓일 경우에만 거짓의 진리값을 가진다.
(4) 배타적 논리합(exclusive OR)
두 명제 중 하나의 명제가 참이고 하나의 명제가 거짓일 때 참, 그렇지 않으면 거짓의 진리값을 가진다.
(5) 조건(implication)
조건은 함축이라고도 함. p -> q 로 표시한다. p 이면 q 이다. 라고 읽음.
(6) 쌍방조건
p <-> q로 표시. p 이면 q 이고 q 이면 p이다. p 는 q 의 필요 충분 조건이다.
명제 p -> q 에 대하여
역 q -> p
이 ~p -> ~ q
대우 ~ q -> ~p
명제와 그의 대우는 논리적 동치 관계이다.
역과 이는 서로 대우 관계이다.
그 외에는 논리적 동치 관계 존재하지 않음.
항진명제: 합성 명제에서 그 명제를 구성하는 단순 명제들의 진리값에 상관 없이 그 합성 명제의 진리값이 항상 참의 값을 가질 때 그 명제를 항진 명제라고 한다.
이와 반대의 개념은 모순 명제.
'전공 수업 CS > Discrete Mathema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이산수학] 1의 보수와 2의 보수 그리고 계산 (1) | 2023.04.13 |
---|---|
[이산수학] 명제 논리 | 진리표 | 추론에서 헷갈리기 쉬운 내용 (0) | 2023.04.12 |